[백준 1926] 그림(C++)

2023. 11. 18. 00:57·🖥️ Study Note/Coding Test
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926

 

1926번: 그림

어떤 큰 도화지에 그림이 그려져 있을 때, 그 그림의 개수와, 그 그림 중 넓이가 가장 넓은 것의 넓이를 출력하여라. 단, 그림이라는 것은 1로 연결된 것을 한 그림이라고 정의하자. 가로나 세로

www.acmicpc.net

문제

어떤 큰 도화지에 그림이 그려져 있을 때, 그 그림의 개수와, 그 그림 중 넓이가 가장 넓은 것의 넓이를 출력하여라. 단, 그림이라는 것은 1로 연결된 것을 한 그림이라고 정의하자. 가로나 세로로 연결된 것은 연결이 된 것이고 대각선으로 연결이 된 것은 떨어진 그림이다. 그림의 넓이란 그림에 포함된 1의 개수이다.

입력

첫째 줄에 도화지의 세로 크기 n(1 ≤ n ≤ 500)과 가로 크기 m(1 ≤ m ≤ 500)이 차례로 주어진다. 두 번째 줄부터 n+1 줄 까지 그림의 정보가 주어진다. (단 그림의 정보는 0과 1이 공백을 두고 주어지며, 0은 색칠이 안된 부분, 1은 색칠이 된 부분을 의미한다)

출력

첫째 줄에는 그림의 개수, 둘째 줄에는 그 중 가장 넓은 그림의 넓이를 출력하여라. 단, 그림이 하나도 없는 경우에는 가장 넓은 그림의 넓이는 0이다.

내 풀이

도화지에서 새로운 그림(?)을 만날때마다 BFS를 통해 그림의 넓이를 구해준다.

#include <iostream>
#include <vector>
#include <queue>
using namespace std;

int main()
{
	int width, height;
	cin >> height >> width;

	vector<vector<int>> map = vector<vector<int>>(height, vector<int>(width, 0));
	vector<vector<bool>> visited = vector<vector<bool>>(height, vector<bool>(width, false));
	queue<pair<int, int>> q; // <height, width>

	int dw[4] = { 1, 0, -1, 0 };
	int dh[4] = { 0, 1, 0, -1 };

	for (int h = 0; h < height; ++h)
	{
		for (int w = 0; w < width; ++w)
		{
			cin >> map[h][w];
		}
	}

	int count = 0;
	int size = 0;
	int max = 0;

	for (int h = 0; h < height; ++h)
	{
		for (int w = 0; w < width; ++w)
		{
			if (map[h][w] == 0 || visited[h][w])
				continue;

			q.push({h, w});

			++count;
			size = 0;

			while (!q.empty())
			{
				int h = q.front().first;
				int w = q.front().second;

				q.pop();

				if (visited[h][w])
					continue;

				visited[h][w] = true;
				++size;

				for (int i = 0; i < 4; ++i)
				{
					int nh = h + dh[i];
					int nw = w + dw[i];

					if (nh < 0 || nh >= height || nw < 0 || nw >= width 
						|| map[nh][nw] == 0 || visited[nh][nw])
					{
						continue;
					}

					q.push({nh, nw});
				}
			}

			max = max < size ? size : max;
		}
	}

	cout << count << '\\n' << max;

	return 0;

}
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(새창열림)

'🖥️ Study Note > Coding Tes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프로그래머스] 뉴스 클러스터링(C++)  (0) 2025.04.15
[프로그래머스]유연근무제(C++)  (0) 2025.04.14
[백준 1931] 회의실 배정(C++)  (0) 2023.10.26
[백준 1003] 피보나치 함수 (C++)  (0) 2023.10.25
[Hacker Rank] Organizing Containers of Balls (C++)  (1) 2023.10.09
'🖥️ Study Note/Coding Tes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  • [프로그래머스] 뉴스 클러스터링(C++)
  • [프로그래머스]유연근무제(C++)
  • [백준 1931] 회의실 배정(C++)
  • [백준 1003] 피보나치 함수 (C++)
Beankong_
Beankong_
주니어 클라이언트 프로그래머 공부 기록
  • Beankong_
    Beankong's Devlog
    Beankong_
  • 전체
    오늘
    어제
    • 전체 글 (146)
      • ⛅ Daily (0)
      • 🖥️ Study Note (2)
        • C++ (1)
        • Unreal Engine (5)
        • Coding Test (123)
        • Design Patteren (5)
        • VCS (Git..) (1)
        • Server (1)
      • 🧭 Devlog (8)
        • 오답노트 (4)
        • UE5 GameLift Server Test Project (1)
        • TIL (3)
  • 블로그 메뉴

    • 링크

    • 공지사항

    • 인기 글

    • 태그

      cpp
      게임 모작
      그래프 순회
      unrealengine build system
      코딩테스트
      programmers
      알고리즘
      그리디(greedy)
      게임 개발
      UnrealEngine5
      프료그래머스
      헬테이커
      propertyaccess
      게임 프로그래밍
      OnlineSubsystem
      unrealengine module
      프로그래머스
      게임프로그래밍
      최단 거리 알고리즘
      UnrealEngine
    • 최근 댓글

    • 최근 글

    • hELLO· Designed By정상우.v4.10.3
    Beankong_
    [백준 1926] 그림(C++)
    상단으로

    티스토리툴바